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YENNY’S :)

[SMAT]요약정리_Module A.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_과목2.이미지 메이킹 본문

SMAT

[SMAT]요약정리_Module A.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_과목2.이미지 메이킹

kimyenny_ 2023. 5. 25. 12:47

SMAT(Servics Management Ability Test, 서비스 경영 능력 시험) 모듈 A의 두 번째 과목인 이미지 메이킹 부분 정리본으로, 이미지와 관련된 이론과 이미지 관리 및 연출 방법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
 

[MODULE A.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]

과목 2. 이미지 메이킹

반응형

1. 이미지

 이미지

 -대상에 대한 총체적인 생각이나 고유한 느낌의 덩어리를 이미지라고 한다.

 -이미지는 마음속에 그려지는 대상의 감각적 영상 또는 심상이다.

 -이미지는 인식 체계와 행동의 동기 유인 측면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.

 -이미지는 오감과 육감을 포함한 수많은 감각에 의해 형성된다.

 -이미지는 대상에 대한 지각적, 감정적 요소가 결합되어 나타난다.

 -이미지는 추상적인 측면을 가지고 대상에 대한 특정 태도를 가지게 되는 것으로 주관적이다.

 -이미지는 학습이나 경험을 통해 얻어지는 정보나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형성된다.

 -이미지는 직접적인 경험 없이도 형성될 수 있다.

 -최근 인터넷 기반 기업이 증가하면서 기업 및 상품 이미지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.

 *지각의 특징: 주관성, 선택성, 일시성, 총합성

이미지 관리 단계

 -이미지 점검하기->이미지 콘셉트 정하기-> 좋은 이미지 만들기->이미지 내면화하기

 -Know yourself->Model yourself->Develop yourself->Package yourself->Market yourself->Be yourself

 

2. 이미지 관련 이론

 이미지 관련 주요 이론

 -초두효과: 처음 제시된 정보가 인상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침

 -최근(최신) 효과: 마지막에 제시된 정보가 인상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침

 -맥락 효과: 처음 인지된 이미지가 이후 형성되는 이미지의  판단 기준이 되어 영향 미침

 -빈발 효과: 반복해서 들어오는 정보에 의해 처음 형성된 이미지가 바뀌는 현상

 -후광효과: 개인이 가진 하나의 긍정적 특성에 기초하여 일반적인 인상을 형상화함

 -악마 효과: 개인이 가진 하나의 부정적 특성에 기초하여 일반적인 인상을 형상화함

 

3. 상황별 이미지 메이킹

 서비스인의 이미지 관리 

 -서비스인의 이미지는 직업의식을 표현하는 도구 중 하나이다.

 -자신에게 어울리는 컬러와 직업이 요구하는 컬러 간 조화가 필요하다.

 -서비스 종사자는 곧 기업의 상품이므로 기업 가치관에 부합하는 이미지 관리가 중요하다.   

 -좋은 이미지는 고객이 느끼는 서비스 질을 높이고, 신뢰감과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한다.

 -직업에 맞는 이미지는 업무 능률과도 관련이 있다.

 서비스 전문가의 이미지 연출

 -흘러내리는 머리 없이 단정하고, 앞머리로 이마나 눈을 가리지 않는 헤어스타일이 좋다.

 -복장은 일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체형에 맞게 착용한다.

 -유니폼 착용 시에는 조직의 규정에 따라야 한다.(소속 표현, 조직 구성원 일체감 형성)

 -지나치게 트렌디하거나 화려한 스타일은 피하는 편이 좋다.

 -밝고 건강해 보이는 자연스러운 메이크업을 하는 것이 좋다.

 -향수는 은은한 향을 소량 뿌리는 것이 좋다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
 면접 이미지 점검

 -회사가 추구하는 이미지에 부합하는가?(시각적 요소)

 -밝고 편안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가?(시각적 요소)

 -복장, 화장 등은 회사의 대외적 이미지에 부합하는가?(시각적 요소)

 -표정, 몸짓, 태도 등은 적절한가?(시각적 요소)

 -면접관의 질문에 대한 답변에 자신 있게 대답하는가?(시각적 요소)

 -목소리의 고저, 발음 등은 정확한가?(청각적 요소)

 *메라비언의 법칙: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분석

  시각적 요소(55%), 청각적 요소(38%), 언어적 요소(7%)

 

 

 

4. 인상/표정 

 밝은 표정의 효과 

 -건강 증진 효과: 근육을 많이 사용하게 되어 건강에 유익하다. 

 -호감 형성 효과: 웃는 표정이 호감을 형성하게 한다.

 -신바람 효과: 기분 좋게 일을 하게 되고, 일의 능률도 향상된다.

 -감정 이입 효과: 환한 표정이 주변 사람들도 기분 좋게 한다.

 -마인드 컨트롤 효과: 밝은 표정이 내면에 영향을 미쳐 실제 감정도 긍정적으로 변화시킨다.

 첫인상의 특징

 -신속성/일회성/일방성/연관성

 표정

 -표정은 마음의 메시지를 겉으로 나타내는 것이다.

 -시선은 눈, 미간, 콧등을 번갈아 보며 완만한 각도로 상대방의 정면을 응시하는 것이 좋다.

  (금지: 곁눈질, 자주 깜박임, 치켜뜨거나 아래로 뜨기, 두리번거리기, 뚫어지게 응시)

 -개인적인 감정을 이겨내고 서비스인으로서의 공적인 표정을 익힌다.

 

5. Voice 이미지 

 Voice 이미지 연출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
 -목소리는 외모와 함께 사람의 인상과 이미지를 만드는 주요 요소이다.

 -사람의 타고난 음색, 음성의 질은 바꿀 수 없지만 음성의 분위기는 훈련으로 변화 가능하다.

 -좋은 목소리는 떨림이 없거나 적고, 정확하게 들린다.

 -기본 호흡은 복식호흡으로 반복 연습한다.

 -장음, 단음을 분명하게 구분하여 발음한다.

 -말의 강약을 조절하여 강하게 말할 때와 약하게 말할 때를 구분한다.

 -모음에 따라 입모양을 다르게 해야 한다.

 -작은 목소리는 소극적인 인상을 주므로 복식호흡을 통해 호흡량을 크게 하여 극복한다.

 -콧소리가 날 때는 목에 힘을 빼주면 좋다.

 -딱딱한 목소리는 감정 이 없고 보이므로 턱을 고정시키고 입술과 혀로 소리 내어 극복한다.

 -천천히 또박또박 말하되 지나치게 끊어 말하기보다는 자연스럽게 발음하도록 한다. 

 -말을 하다가 잠시 공백을 두면 상대의 집중도를 높이고 핵심을 강조할 수 있다.

 

반응형